본문 바로가기
  • 나의 작은 기록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adobe/lightroom

라이트룸 Tone 영역의 노출과 대비 밝기 조절

by labper M 2025. 9. 13.

라이트룸 톤 tone 영역 

라이트룸의 노출 Exposure 도구는 카메라에서 ISO값을 조절하는 것과 유사한 원리로 작동된다.

밝은 영역 highlight 는 화이트홀 경고(단축키 J)를 활성화 했을때 나타나는 부분을 조절해서 줄일 수 있다.
어두운 영역은 그 반대겠지

처음 알았는데 밝은 영역, 어두운 영역을 클릭한 뒤 
+ - 단축키로 5단위씩 증감시킬 수 있고 shift를 누른채로 +-를 누르면 10단위씩 변경된다.

그리고 톤 tone 영역에 있는 막대를 조정하면 히스토그램 뒤쪽에 영역이 표시되는데
노출을 조절하면 히스토그램 중간영역의 값을 변화시켜주는 것을 알수 있다.
밝은 영역, 어두운 영역, 흰색 계열, 검정 계열을 드래그해서 조절할때
히스토그램을 살펴보면서 드래그 해봐라
히스토그램 보는 방법을 익힐 수 있다.

opt키(alt키)를 누르면 지금까지 수정한 톤을 초기화 할 수 있다.
opt키를 누르면 '톤'이라는 글씨가 '톤 초기화'로 변경되고 그걸 클릭하면 초기화가 된다.
이건 톤 뿐만 아니라 다른 조절창에서도 똑같이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밝은 영역, 어두운 영역등의 조절바를 움직일때 opt키를 누른채로 조절을 하면
화이트홀 경고(J)를 켜지 않았어도
보정화면이 검정색으로 바뀌면서 화이트홀, 블랙홀을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라이트룸 외관 Presence

부분대비는 대비와는 다른 용도이다.
부분대비는 Clarity.
Clarity를 변화시키면 선과 면의 분명한 정도가 달라지므로
간접적으로는 사진의 밝기에도 영향을 미치나, 실질적으로는 사진의 밝기보다는 사진의 재질감 표현에 더욱 영향을 미친다.

 

라이트룸에서 '생동감'과 '채도'의 차이가 궁금했었는데
Vibrance 생동감은 채도가 높은 색상은 가급적 건드리지 않고, 상대적으로 채도가 낮은 색을 중점적으로 조절한다.
'중간톤을 가진 색상의 채도를 변경하는 도구'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라이트룸 기능들을 이렇게 쪼개서
좀 더 깊게 배우니까 도움이 많이 된다!
대충 감으로 하는것보다 왜 이렇게 작동하는지를 알아야 제대로 실력이 향상되겠지!

 

 

 

 

라이트룸 화이트밸런스 몰랐던 사실

라이트룸 화이트밸런스 조절값라이트룸에서 화이트밸런스를 조절할때한글버전의 경우 '색온도'라고 표기되어 있는데조절할 수 있는 값이 -100에서 100까지 중에서 선택을 할 수 있다그런데 이건

smilewolf.tistory.com

 

 

 

라이트룸 spot removal 잡티 제거 툴의 숨겨진 기능?

라이트룸 spot removal 잡티제거 툴라이트룸도 포토샵 처럼 잡티를 쉽게 제거 할 수 있는 툴이 있는데바로 spot removal 툴이다.단축키는 Q오른쪽 히스토그램 아래에 있다.포토샵의 아이콘과 비슷한 것

smilewolf.tistory.com

 


댓글